반응형
1.풀이
처음에 생각한 방법은 가장 가까운 먼지부터 먼저 방문하고, 그러한 먼지가 여러개일 경우를 dfs로 탐색해주는 그리디한 방법을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다다음 먼지의 위치에 따라 더 긴 경로가 될 수 있다. 아래의 경우가 그 반례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리디하게 접근한다면 시작점에서 왼쪽위 먼지로 가야하지만, 그러면 총 이동거리는 16이된다.
하지만 제일 오른쪽 아래에 있는 먼지부터 먼저 접근하면 총 이동거리는 14가 된다.
따라서 모든 경우를 탐색해 주어야 한다.
(근데 2차원 평면이아닌, 1차원 직선에선 그리디하게 접근해도 되는거 같음..)
올바른 접근방법은
(1) 시작점에서 모든먼지까지의 위치를 구한다
(2) 위치를 구한 먼지로 이동해서 해당 먼지는 방문했으므로 "."으로 바꿔준다
(3) 그후 bfs를 통해 또 다른 먼지까지의 위치를 구한다
(4) (2),(3)을 반복한다
(근데 이런 방식은 이미 구한 먼지사이의 거리를 매번 다시 구한다. 먼지사이의 거리를 미리 한번만 구해서 필요할때만 써먹으면 수행시간이 더 빠를거 같다)
2.소스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R=[0,0,-1,1]
dC=[-1,1,0,0]
#map에 먼지 있으면 True
def isDirt(map):
for i in range(h):
for j in range(w):
if map[i][j]=="*":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bfs(startR,startC,nowMap,visited,dirtL):
q = deque([[startR, startC]])
while(q):
r,c=q.popleft()
for k in range(4):
tempR=r+dR[k]
tempC=c+dC[k]
if 0<=tempR<h and 0<=tempC<w and visited[tempR][tempC]==-1:
#깨끗한칸
if nowMap[tempR][tempC]==".":
q.append([tempR,tempC])
visited[tempR][tempC]=visited[r][c]+1
#더러운칸
elif nowMap[tempR][tempC]=="*":
dirtL.append([tempR,tempC])
q.append([tempR,tempC])
visited[tempR][tempC]=visited[r][c]+1
def dfs(r,c,nowMap,cnt):
#print(r,c)
global ans
if cnt>=ans:
return True
visited = [[-1 for j in range(w)] for i in range(h)]
visited[r][c] = 0
dirtL=[] #먼지위치저장
bfs(r,c,nowMap,visited,dirtL)
if dirtL:
for i,j in dirtL:
nowMap[i][j]="."
if dfs(i,j,nowMap,cnt+visited[i][j]):
nowMap[i][j] = "*"
else:
return False
return True
else:
#먼지있으면
if isDirt(nowMap):
return False
else:
if ans>cnt:
ans=cnt
return True
while(1):
w,h=map(int,input().split())
if w==0 and h==0:
break
L=[]
for i in range(h):
temp=list(input())
if "o" in temp:
sR=i
sC=temp.index("o")
L.append(temp)
ans=9876543210
L[sR][sC]="."
if dfs(sR,sC,L,0):
print(ans)
else:
print(-1)
반응형